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다이어트 중 대리만족을 위한 먹방 시청 효과는?

반응형

다이어트는 성별과 연령을 떠나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친숙한 주제일 것이다.
나 또한 다이어트를 위해 음식을 조절하기도 하고 다이어트 방법을 검색해보기도 한다.

TV를 보고 있는데 한 프로그램에서 어떤 사람이 다이어트 중이라고 했다.
그리고 그 사람은 대리만족을 위해 먹방을 보면서 식욕을 참는다고 했다.
좋은 방법이라 생각되어 나도 따라 해봤다.

그런데 나한테는 맞지 않는 방법이었는지 오히려 먹방에서 본 음식이 더 생각나고 먹고 싶은 욕구가 더 강해지는 걸 경험했다.
먹방을 통한 대리만족이 나한테는 통하지 않는 방법이었지만 실제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다이어트

 

억제통제훈련이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의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외부적 섭식과 정서적 섭식의 조절 효과


현대 사회는 날씬한 몸매가 미의 기준이 되고, 성공에 필요한 요소라는 것을 직-간접적으로 강조하는 분위기가 만연해진 상태로,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은 지나칠 정도이다(윤정민, 심은정, 2019). 특히, TV나 잡지 등과 같은 많은 미디어에서 여성들의 비현실적이고 이상적인 몸매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있다(전소정, 성용준, 양은주, 2018).

한편, 날씬한 몸을 위해 인위적으로 음식 섭취를 제한하고, 먹고자 하는 욕구를 통제하는 행위들이 빈번해짐에 따라 체중 감량을 위한 모든 행동이 ‘다이어트’라고 불리기 시작했다(최진영, 2000). 다이어트에서 음식 섭취 절제는 다이어트 행동을 구분하는 일차적인 기준이 된다(Herman, 1978). 섭식 절제는 먹으려고 하는 충동과 싸우는 인지적인 노력으로 정의되는데(Herman & Polivy, 1983), 절제된 섭식과 관련하여 Herman(1978)의 섭식 절제이론(restraint eating theory)에서는 비만 수준보다 섭식을 절제하려는 강도가 과도한 음식 섭취를 더 잘 설명한다고 하고, 불안이나 우울, 고칼로리 음식과 같은 요인들이 섭식 행동을 억제하는 데 관여하게 되어 탈억제를 야기한다고 설명한다. 이로써 불안이나 우울과 같은 부정 정서나 고칼로리 음식과 같은 음식 관련 외부적 단서가 섭식 억제를 하는 사람들의 음식 섭취 억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임이 예상된다.

섭식 절제와 관련된 3가지 섭식 행동의 유형을 Van Strien, Frijiters, Bergers 및 Defares(1986)는 절제된 섭식과 외부적 섭식, 정서적 섭식으로 구분했다. 그 중, 외부적 섭식이란 배고픔이나 포만감과 무관히 음식 관련 외적 단서로 인해서 유발된 섭식을 의미한다 (Schachter, Goldman, & Gordon, 1968). 관련된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TV 속의 음식 관련 광고 시청만으로 음식 섭취 증진이 유발될 수 있다고 한다(Boyland, Harrold, Kirkham, & Halford, 2008; Halford, Boyland, Hughes, Oliveira, & Dovey, 2007). 또, Jansen과 van den Hout(1991)의 연구에서는 사전 음식 단서에 노출된 섭식 절제자 집단이 사전 음식 단서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에 비해서 음식 섭취를 더 많이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고려했을 때, 평소 섭식을 절제하는 상황에서 음식 관련 단서에 노출될 경우 음식 섭취의 가능성이 증가해서 절제 실패가 야기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음식 갈망이란 저항하기 어려운 특정 음식을 먹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의미하는데(Weningarten & Elston, 1990), 특정 음식에 대한 강한 갈망이나 원하는 물질의 섭취를 촉진하는 특정 형태의 음식에의 심리 및 생리적 동기 부여 상태(Baker, Morse, & Sherman, 1987)이며 음식과 관련된 감정 및 운동적 요소와 인식을 모두 특징으로 한다(Giuliani & Berkman, 2015).

음식 갈망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로 음식 갈망은 절제되지 않은 섭식과 더불어 과식 행동에 대한 중요 요인이다(NeumarkSztainer, Wall, Haines, Story, & Eisenberg, 2007). 둘째,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음식 갈망의 수준이 높기 때문에 음식에 대한 생각 및 냄새만으로도 음식 섭취에 대한 강한 충동을 느낄 수 있고(Legoff & Spigelman, 1987), 갈망에 저항하는 것을 더 어려워한다(Massey & Hill, 2012). 마지막으로 음식 갈망은 일반 사람들도 흔히 경험하는 현상(Rozin, Levine, & Stoess, 1991; Weingarten & Elston, 1990)이라는 특징이 있다.

음식 갈망이 가지고 있는 양가적인 속성 때문에 먹방 시청을 통해 음식 갈망이 유도된다면,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가 모두 증가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긍정 정서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부정 정서만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먹방 시청을 통해 유도된 음식 갈망의 특성과 관련될 것이라 예상된다. 먹방과 관련하여 외모지상주의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는 김혜진(2015)의 연구에서는 먹방을 시청하는 사람들이 음식에 대한 죄의식으로 한 번에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는 BJ들의 자기 학대적 모습을 보며 결국 자신의 식욕을 억제하게 된다고 한다. 또 문영은, 심지수, 박동숙(2017)에 따르면 비록 음식에 대한 저항을 먹방에 나오는 BJ에게 이양해서 위안을 얻기도 하지만, 자신의 몸에 대한 고정관념이 있고 혹독하게 식욕을 절제하는 시청자들은 먹방 시청을 통해서 식욕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킨다고 일관적으로 보고했다고 한다. 즉, 먹방 시청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도된 음식 갈망은 음식 섭취에 대한 억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고, 먹방을 시청함으로써 대리만족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는 결국 해당 음식 섭취를 더 억제하도록 하므로 부정 정서의 상승만 나타났던 것으로 유추된다. 이로써, 음식 갈망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정서적 변화도 함께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서영, & 윤혜영. (2021). 억제통제훈련이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의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외부적 섭식과 정서적 섭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7(4), 330, 332, 342, https://doi.org/10.15842/cprp.2021.7.4.329

반응형